반응형 한국어교육9 외국어 학습자 - 정의적 요인 - 성격유형(MBTI) 외국어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정서적 요인이 중요합니다. 마이어스 브리그스의 성격 유형 검사(MBTI)는 학습자의 성격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학습자의 MBTI 유형에 맞는 외국어 선생님의 수업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MBTI 검사에 대해 설명하고, 학습자의 MBTI 유형별로 수업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해 보겠습니다. 1. 마이어스 브리그스 검사와 외국어 학습자의 정서적 요인 MBTI는 4가지 유형(Extraversion(E)/Introversion(I), Sensing(S)/iNtuition(N), Thinking(T)/Feeling(F), Judging(J)/Perceiving(P))으로 학습자의 성격 특성을 분류합니다. 이를 활용하여 외국.. 2023. 8. 5. 언어와 문화 - 의사소통 역량 1. 의사소통 역량 Communicative Competeny 외국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역량의 향상에 있습니다. 외국어 실력은 공부를 할수록 점점 높아지게 되는데 배울수록 아는 것이 많아지지만 실제로 의사소통 역량은 쉽게 향상되지 않습니다. 의사소통 역량의 향상을 목표로 수업할 때 고려해 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수준별 수업입니다. 학습자의 능력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계획되어야 합니다. 각 능력 수준에 따라 적절한 교수법을 사용하여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초급 수업 : 초급 수업은 외국어를 처음 접하는 학습자를 위한 수업으로, 언어의 기본적인 문법과 어휘, 발음 등에 초점을 둡니다. 대부분의 수업은 말하기와 듣기에 중점을 두어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2023. 8. 4. 언어 습득 이론 - 상호작용 가설, 브라운의 일곱 개의 원칙 외국어 학습에서 상호작용, 근접 발달 영역 및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1. 롱의 상호작용 가설(Long's Interaction Hypothesis) 이 가설은 학습자와 주변인들의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 가설은 학습자에게 체계적인 피드백 보고를 전달하고 상호작용이 많은 환경에서 제2언어를 습득하게 되는데, 이는 더 잘 학습하고 기술적으로 능숙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이 이론은 학습자가 현재 할 수 있는 능력보다 조금 어려운 일을 해 보면서 능력을 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제2언어 학습자가 최우수 학습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무언가 도전.. 2023. 8. 3. 언어 습득 이론 - 나이와 언어 습득 1. 학습자의 나이가 외국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첫째, 언어획득과 발달 이론적 측면에서, 모국어 습득은 인간 뇌가 발달해 나가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어린 시절부터 외국어를 습득하는 것이 언어 발달의 깊이와 폭을 향상하는 데 있어서 큰 장점을 갖출 수 있다는 것이 연구 결과로 확인되어 왔습니다. 둘째, 연령에 따른 인지능력과 연관하여 세 분류로 분석됩니다. 우선 하나의 언어를 습득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른 언어를 습득하는 능력도 강화된다는 것입니다. 둘째, 일반적으로, 이전에 영어와 같은 외국어를 학습한 학습자는 이를 이미 활용한 경험이 있는 만큼, 새로운 외국어 학습에 더욱 적극적이고 열심히 노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셋째, 연령에 따른 불투명성 정도에 대한 설문조.. 2023. 8. 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